09. 폭발위험장소의 구분 - (3) 누출구멍, 누출률의 정의 및 결정
지난 포스팅에선 누출등급에 대해 알아보았다.
09. 폭발위험장소의 구분 - (2) 누출등급이란?
지난 포스팅에선 폭발위험장소 구분의 목적, 위험장소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다. https://blog.naver.com/ysbusy/222159085866ysbusy.tistory.com/39 이번 포스팅에선 누출등급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누출등급.
nefing.com
이번 포스팅에선 누출구멍과 누출률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1. 누출구멍의 정의 및 결정
A. 정의
- 가연성 가스의 누출이 일어나는 구멍의 단면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kaaTJ/btqUuMnvEdN/jA6qutt5ce5uR6sQLmhdW0/img.png)
B. 특징
B.1 가연성 가스의 누출 유량(누출률) 결정에 사용되는 인자이며,
누출률 값은 위험장소 구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값이다.
B.2 누출률은 누출 구멍 반경의 제곱에 비례한다.
C. 누출구멍 크기의 결정
C.1 연속/1차 누출등급의 누출구멍
: 누출이 예상되는 방출구, 오리피스의 크기로 결정된다.
C.2 2차 누출등급의 누출구멍
- 누출원의 유형, 누출원의 파손 유형에 따라 결정된다.
- 누출원의 유형 뿐만 아니라 파손유형 또한 다양하게 존재하므로
각각 상황에 따라 적절한 누출구멍 크기를 결정해야 한다.
- 2차 누출등급의 누출구멍 값은 범위로 주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설비의 운전조건을 고려하여 값을 결정한다.
Metoo Edition 기계식 키보드 87 키 태블릿 데스크탑 용 파란색 스위치 게임용 키보드 러시아어 스티
nefing.com
PAGANI DESIGN 최고 브랜드 스포츠 남자 기계식 손목 시계 세라믹 베젤 방수 자동 시계 새로운 사파
nefing.com
2. 누출률의 정의 및 결정
A. 정의
- (누출원에서) ‘단위 시간당 누출되는 인화성 물질의 양’을 의미한다.
B. 특징
B.1 단위 시간당 물질의 양에 대한 값이므로 단위는 kg/s 이다.
B.2 다수의 누출원이 존재할 경우 누출원 구성에 따라 누출률을 계산한다.
a. 다수의 연속누출등급 누출원이 존재할 경우
: 각 누출원의 누출률의 총 합
b. 다수의 1차 누출등급 누출원이 존재할 경우
: [동시에 누출될 수 있는 1차누출등급 누출원의 누출률의 총 합] + [연속누출등급 누출원의 누출률]
c. 다수의 2차누출등급 누출원이 존재할 경우
: [누출률이 가장 큰 2차누출등급 누출원의 누출률] + [연속누출등급 누출원의 누출률]
C. 누출률의 결정
C.1 KS규격 등에서 액화 가스 및 가스의 누출률을 계산하기 위한 근사식이 제시되며,
누출률을 결정하기 위해선 해당 근사식을 활용한다.
C.2 누출구멍, 압력차, 유체의 밀도, 속도 등이 근사식의 주요 변수이다.
C.3 근사식보다 더욱 정확한 계산식을 적용할 수 있다면 해당 계산식으로 누출률을 계산한다.
* 위 글은 기업의 구매, 영업, 설계 담당자에게 도움을 드리기 위한 참조용 글입니다 *
* 위 글의 저작권은 ysbusy에게 있으며, 무단 배포를 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