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flame (2)
알기 쉬운 기술 지식, 한 눈에 보는 업체 비교
지난 포스팅에선 연소란 무엇인지, 연소의 3요소, 4요소는 무엇인지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다. http://nefing.com/c/58431397 11. 연소란? (1) (연소의 3요소, 4요소) 지난 포스팅에선 폭발한계란 무엇인지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다. 링크 링크 : https://ysbusy.tistory.com/40?category=427319 이번 포스팅에선 연소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고, 연소를 위해 필요한 nefing.com 이번 포스팅에선 물질의 상태(고체, 액체, 기체 상태)에 따른 연소, 그 중에서도 기체의 연소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이번에 다루는 기체는 연소되는 기체. 즉, 가연성 기체임을 참고하자.) 우선, 기체의 연소의 형태는 불꽃연소(발염*연소)이다. 불꽃연소를 한다..
지난 포스팅에선 내압방폭구조에 대해 다뤄보았다. http://nefing.com/c/84437822 06. 내압방폭구조란? (Flameproof Enclosure Ex d) 지난 포스팅에선 방폭의 공통기준 - 문서화, 사용 전 점검에 대해 알아보았다.링크 : https://ysbusy.tistory.com/35 이번 포스팅에선 내압방폭구조에 대하여 알아본다. 내압방폭구조는 무엇일까? 내압이 nefing.com 이번 포스팅에선 내압방폭구조와 관련된 화염통로(Flame Path)를 주제로 포스팅을 이어가려 한다. 간단하게 말해서 화염통로란 내압방폭구조의 틈새라고 할 수 있으며, 화염통로가 지니는 의미는 내압방폭구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한다. 1. 화염통로의 기능 화염통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