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쉬운 기술 지식, 한 눈에 보는 업체 비교
11. 연소란? (1) (연소의 3요소, 4요소) 본문
지난 포스팅에선 폭발한계란
무엇인지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다.
링크
10. 폭발범위란? 폭발한계란? (Explosive Limit)
지난 포스팅에선 폭발위험장소에 대해 알아보았다. 링크 : https://ysbusy.tistory.com/39 09. 폭발위험장소의 구분 - (1) 폭발위험장소란? 지난 포스팅에선 MESG & IEC 가스그룹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링크
nefing.com
이번 포스팅에선 연소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고,
연소를 위해 필요한 연소의 3요소, 4요소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1. 연소란?
A. 연소의 정의
- 연소란 연소 대상 물질이 산소와 급격하게 결합하면서
다량의 열과 빛을 발하는 현상을 말한다.
-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물질이 산소와 급격하게 결합하면서
원자, 분자들은 운동한다. 그에 따라 원자, 분자의 운동에너지가 증가하며,
그 운동에너지는 열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한 열이 크다면 빛이 발생하게 되며, 이것이 연소이다.
B. 연소의 특징
B-1. 연소 후 연소 대상 물질과 산소의 결합으로 새로운 물질이 만들어진다.
보통 ‘물’, ‘이산화탄소’ 또는 ‘산화~~’가 생성된다.
Ex 1) CH4 + 2O2 -> CO2 + 2H2O
Ex 2) 2Mg + O2 -> 2MgO
B-2. 연소는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여 새로운 물질이 생겨나게 하므로,
연소는 화학적 변화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B-3. 연소 가능한 물질(=가연성물질)이 존재하는 반면,
연소 불가능한 물질(불연성) 또한 존재한다.
Metoo Edition 기계식 키보드 87 키 태블릿 데스크탑 용 파란색 스위치 게임용 키보드 러시아어 스티
nefing.com
2021 가을/겨울 남성 겨울 라운드 넥 스웨터 하라주쿠 플러스 사이즈 학생 트렌드 남녀 학생 커플
nefing.com
2. 연소의 3요소? 4요소?
A. 연소의 3요소
- 연소의 3요소는 연소가 발생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아래의 3가지 요소를 말한다.
(즉, 3가지 요소 중 하나의 요소라도 차단된다면 연소는 발생하지 않는다.)
A.1 가연물
: 불에 탈 수 있는 물질
: 가연물은 고체, 액체, 기체 3가지 상태를 가지며,
각각의 상태에서의 연소 특징은 조금씩 상이하다.
A.2 열
: 어떠한 물질이 연소하기 위해선 열에너지가 필요하다.
: 점화원이 있다면 더 낮은 온도(인화점)에서 연소가 가능하다.
A.3 산소
: 연소의 정의에서 드러나듯, 연소를 위해선 산소는 필수로 존재해야 한다.
: 공기중의 산소 농도는 약 21%이며,
산소 농도가 더 높다면 연소는 더 잘 이루어진다.
B. 연소의 4요소
- 연소의 4요소는 위 3요소에 하나의 요소를 더 추가한 개념이다.
B-1. 화학적 연쇄반응
: 화학적 연쇄반응이라는 4요소는 첫 연소 이후의 연소에 관한 요소이다.
: 가연성 물질의 지속적인 생성, 산소와의 지속적인 결합,
연소점 이상의 온도 등을 만족해야만 연소는 연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위 글은 기업의 구매, 영업, 설계 담당자에게 도움을 드리기 위한 참조용 글입니다.
'Hard Ware 기술지식 > 방폭'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연소란? (3) (액체 연소 – 증발 / 분해 연소) (0) | 2021.01.12 |
---|---|
11. 연소란? (2) (기체 연소 - 확산연소, 예혼합연소) (0) | 2021.01.12 |
10. 폭발범위란? 폭발한계란? (Explosive Limit) (0) | 2020.12.24 |
09. 폭발위험장소의 구분 - (1) 폭발위험장소란? (0) | 2020.12.24 |
08. 내압방폭구조 - MESG란? IEC 가스그룹이란? (0) | 2020.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