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쉬운 기술 지식, 한 눈에 보는 업체 비교
2. 공차 - (2.3) 구멍과 축의 끼워맞춤 [끼워맞춤(FIT)의 종류, 권장되는 끼워맞춤 영역] 본문
지난 포스팅에선 구멍과 축의 공차역이란 무엇이며,
끼워맞춤 공차를 해석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2. 공차 - (2.2) 구멍과 축의 끼워맞춤 [공차역, 기초가 되는 치수 허용차]
지난 포스팅에선 구멍과 축의 끼워맞춤에 있어서 핵심 개념인 IT 공차와 그것의 해석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https://ysbusy.tistory.com/59 2. 공차 - (2.1) 구멍과 축의 끼워맞춤 [IT 공차의 정의, 해석] 지
nefing.com
이번 포스팅에서도 역시 구멍과 축의 끼워맞춤에 대해 알아볼 것이며,
금번 포스팅에선 아래 항목 중, 5, 6번 항목에 대해 알아본다.
1. IT공차의 정의 및 표기형식
2. IT공차의 의미와 예시
3. 구멍과 축의 공차역
4. 공차의 해석과 기초가 되는 치수 허용차
5. 끼워 맞춤 방식
6. 권장되는 끼워맞춤 영역
1. 구멍과 축의 끼워 맞춤 방식
- 구멍과 축의 끼워 맞춤 방식은 두 부품의 공차역, IT정밀도 공차의 조합에 따라 결정된다.
- 끼워 맞춤 방식은 죔새, 틈새 존재 여부에 따라 3가지가 존재하며, 아래와 같다.
A. 죔새, 틈새에 따른 끼워맞춤 분류
[옷자락 ]남자 핀턱 배기핏 밴딩 고무줄 캐쥬얼 무지 면바지
nefing.com
1) 헐거운 끼워맞춤 (Clearance Fit)
- 항상 틈새*가 생기는 끼워맞춤. 즉, 구멍이 축보다 큰 끼워맞춤.
* 틈새 : 구멍이 축보다 커서 헐겁게 끼워 맞추어질 때 발생하는 치수차
- 최소틈새 = 구멍 최소 치수 – 축 최대 치수
- 최대틈새 = 구멍 최대 치수 – 축 최소 치수
2) 억지 끼워맞춤 (Interference Fit)
- 항상 죔새**가 생기는 끼워맞춤. 즉, 구멍이 축보다 작은 끼워맞춤.
** 죔새 : 구멍이 축보다 작아서 억지로 끼워 맞추어질 때 발생하는 치수차
- 최소죔새 = 구멍 최대 치수 – 축 최소 치수
- 최대죔새 = 구멍 최소 치수 – 축 최대 치수
- 억지 끼워맞출 시 구멍-축 사이에 발생하는 간섭에 의해 응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
- 억지 끼워맞춤의 방식은 아래와 같이 3가지가 존재한다.
2.1) 외력을 가해 끼워맞춤
- 죔새가 크지 않거나, 소형 물체인 경우 망치/프레스로 외력을 가해 끼워맞춘다.
- 외력을 가할 시 물체가 파손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2.2) 수축 결합 끼워맞춤
- 드라이 아이스, 액체 질소 등을 사용하여 축(내측부품)을 수축시켜서 끼워맞춘다.
2.3) 팽창 결합 끼워맞춤
- 외측 부품에 열을 가하여 팽창시켜서 끼워맞춘다.
- 열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온도를 고르게, 서서히 높여야 한다.
3) 중간 끼워맞춤 (Slide Fit)
- 구멍과 축의 실제 가공치수에 따라 틈새가 생길 수도, 죔새가 생길 수도 있는 끼워맞춤
B. 기준 설정에 따른 끼워맞춤
무한 매칭, 쉽고 빠른 100만 채팅 어플 ‘아마시아’
teving.com
- 구멍 또는 축 중 어느 하나의 공차등급, 공차역을 정하여 기준으로 설정하는 방식
- 정해진 기준과 원하는 끼워맞춤 방식(억지/헐거운)을 고려하여 다른 하나의 공차등급, 공차역을 결정한다.
1) 구멍 기준 끼워맞춤
- 구멍의 공차역을 H(H5~H10)로 정하고 필요한 죔새/틈새에 따라 축의 공차역을 정하는 방식
- 구멍의 아래치수 허용차가 0인 끼워맞춤 방식
2) 축 기준 끼워맞춤
- 축의 공차역을 h(h4~h9)로 정하고 필요한 죔새/틈새에 따라 구멍의 공차역을 정하는 방식
- 축의 위치수 허용차가 0인 끼워맞춤 방식
3) 끼워맞춤 방식의 선택
- 구멍보다 축의 가공이 더 용이하므로 구멍의 크기를 기준으로 하여 축의 끼워맞춤 정밀도를 조절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2. 권장되는 끼워맞춤 영역
A. 권장되는 끼워맞춤 영역의 필요성
- IT공차등급(20or18개)과 공차역(28개)의 가짓수를 조합하면,
하나의 가공물에 대해 560(or504, 20(or18) x 28)가지의 공차 선택이 가능하다.
- 그에 따라 구멍과 축의 조합은 313,600(560x560)가지 또는 254,016(504x504)가지가 존재하게 된다.
- 이렇게 많은 가짓수는 불필요한 도구/측정장비 사용이 필요함을 의미하며 이것은 제품 원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 반대로 권장되는 끼워맞춤 영역을 지정하여 사용한다면, 가공 및 측정의 경우의 수를 줄여 원가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B. 권장되는 끼워맞춤 영역의 예시
1) 구멍기준식 끼워맞춤의 권장되는 끼워맞춤 영역 (조합)
- 구멍의 공차역/공차등급을 H5~H10로 지정하여 원하는 끼워맞춤 방식에 따라 축의 공차역/공차등급이 권장된다.
2) 축기준식 끼워맞춤의 권장되는 끼워맞춤 영역 (조합)
- 축의 공차역/공차등급을 h5~h9로 지정하여 원하는 끼워맞춤 방식에 따라 구멍의 공차역/공차등급이 권장된다.
C. 관련 KS규격
- KS B ISO 286-1
위 글은 기업의 구매, 영업, 설계 담당자에게 도움을 드리기 위한 참조용 글입니다.
위 글의 저작권은 ysbusy에게 있으며, 무단 배포를 금합니다.
'기계 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공차 - (2.2) 구멍과 축의 끼워맞춤 [공차역, 기초가 되는 치수 허용차] (1) | 2021.05.23 |
---|---|
2. 공차 - (2.1) 구멍과 축의 끼워맞춤 [IT 공차의 정의, 해석] (0) | 2021.05.23 |
2. 공차(Tolerance) - (1) 공차란? 공차의 필요성 및 기준 (0) | 2021.05.05 |
1. 기하공차 - (1) 평면도와 평행도란? & 개념 구분 (0) | 2020.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