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68)
알기 쉬운 기술 지식, 한 눈에 보는 업체 비교

1. What is MFC? - MFC stands for Mass Flow Controller and refers to a mass flow control device as the term implies. - The mass flow unit of the MFC is generally SCCM or SLM*. * SCCM and SLM are units representing the flow rate in the standard state, and please refer to the link below for more information. https://ysbusy.tistory.com/62 01. What is SCCM & SLM? Why do we use this unit? (Including e..

In this posting, we will look at Geometric Tolerance(Geometric Dimensioning and Tolerancing, GD&T), especially Flatness and Parallelism (definition, reason for use), and distinguish between the two concepts. (Note that the Geometric Tolerance is basically a symbol used in the drawing of the part.) 1. What is a Flatness? A. Definition. - Tolerance indicated in the drawing how flat the plane of th..

1. What is SCCM & SLM? A. What is SCCM? (Standard Cubic Centimeter per Minute) Just like the term, It is a unit representing 'how many cc per minute the gas flows in the standard state'. (1cc=1㎤) In this case, the standard state means 0 degrees Celsius and 1 atm. (1 atm = 1 atmosphere = atmospheric pressure) That is, 1000 SCCM in the standard state means that 1000cc of gas flows per minute. B. W..

지난 포스팅에선 구멍과 축의 공차역이란 무엇이며, 끼워맞춤 공차를 해석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http://nefing.com/c/30044157 2. 공차 - (2.2) 구멍과 축의 끼워맞춤 [공차역, 기초가 되는 치수 허용차] 지난 포스팅에선 구멍과 축의 끼워맞춤에 있어서 핵심 개념인 IT 공차와 그것의 해석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https://ysbusy.tistory.com/59 2. 공차 - (2.1) 구멍과 축의 끼워맞춤 [IT 공차의 정의, 해석] 지 nefing.com 이번 포스팅에서도 역시 구멍과 축의 끼워맞춤에 대해 알아볼 것이며, 금번 포스팅에선 아래 항목 중, 5, 6번 항목에 대해 알아본다. 1. IT공차의 정의 및 표기형식 2. IT공차의 의미와 예시 3. 구멍과 축의 공..

지난 포스팅에선 구멍과 축의 끼워맞춤에 있어서 핵심 개념인 IT 공차와 그것의 해석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http://nefing.com/c/53933005 2. 공차 - (2.1) 구멍과 축의 끼워맞춤 [IT 공차의 정의, 해석] 지난 포스팅에선 공차란 무엇이며, 그것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https://ysbusy.tistory.com/58 2. 공차(Tolerance) - (1) 공차란? 공차의 필요성 및 기준 지난 포스팅에선 기하공차 - 평면도와 평행도 nefing.com 이번 포스팅에서도 역시 구멍과 축의 끼워맞춤에 대해 알아볼 것이며, 금번 포스팅에선 아래 항목 중, 3, 4번 항목에 대해 알아본다. 1. IT공차의 정의 및 표기형식 2. IT공차의 의미와 예시 3. 구멍과 축의 공차..

지난 포스팅에선 공차란 무엇이며, 그것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http://nefing.com/c/64877567 2. 공차(Tolerance) - (1) 공차란? 공차의 필요성 및 기준 지난 포스팅에선 기하공차 - 평면도와 평행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ysbusy.tistory.com/12?category=427544 1. 기하공차 - (1) 평면도와 평행도란? & 개념 구분 이번 포스팅에선 기하공차, 그중에서도 평면도 nefing.com 이번 포스팅에선 구멍과 축의 끼워맞춤에 대하여 알아볼 것이며, 그 순서는 아래와 같고, 금번 포스팅에선 1, 2번 항목(IT공차)에 대해 알아본다. 1. IT공차의 정의 및 표기형식 2. IT공차의 의미와 예시 3. 구멍과 축의 공차역 - 정의 & 표기 형식 ..

지난 포스팅에선 기하공차 - 평면도와 평행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http://nefing.com/c/95695946 1. 기하공차 - (1) 평면도와 평행도란? & 개념 구분 이번 포스팅에선 기하공차, 그중에서도 평면도와 평행도를 알아보고(정의, 사용 이유) 두 가지 개념을 구분해보려 한다. (기본적으로 기하공차는 부품의 도면에 사용되는 기호임을 참고한다.) 1. nefing.com 이번 포스팅에선 공차란 무엇이며, 그것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본다. 더 나아가 치수 공차 표기 기준과 관련된 국가 표준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본다. 1. 공차란? 공차의 필요성 A. 공차란? - 설계자가 가공품의 기준 치수, 형상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벗어남이 허용되는지에 대해 표현한 것. - 즉, 공차는 설계자가 도면에 표..

이번 포스팅에선 용접의 전반에 대해 알아보려한다. 1. 용접이란? A. 정의 - 두 개 이상의 금속을 가열, 가압 등의 수단으로 국부적으로 접합시키는 것. - 즉, 용접의 대상은 접합이 필요한 두개 이상의 금속이며, 용접 Mechanism의 핵심은 가열, 가압이라고 할 수 있다. B. 분류 - 용접은 용접 Mechanism에 따라 융접/압접/납땜으로 분류된다. (용접 용어*들은 본문 하단을 참고) B-1. 융접 (비가압용접) - 모재의 접합부를 용융*상태로 가열하여 모재*와 용가재*가 융합되도록 한 용접 - 융접은 가스용접/아크용접 등으로 다시 분류된다. - 용가재로 쓰이는 재료는 모재와 같은/유사한 재료를 사용 - 용접부의 열팽창 & 수축과정에서 변형 및 잔류응력 발생 B-2. 압접 (가압용접) - 기..